본문 바로가기

Cloud/AWS

[AWS] 아마존 웹 서비스 클라우드 인프라(리전, 가용 영역, 에지 로케이션)


안녕하세요!

 

두루뭉실 블로그의 주인장 두루뭉실 엔지니어 입니다!

 

오늘은 아마존 웹서비스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알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기초 상식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궁금하신 사항이나, 토의가 필요하시다면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effrey Preston Bezos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닷컴의 설립자로 유명합니다.

 

서점에서는 왜 책을 산더미처럼 쌓아 두고 팔아야 하는 거지?
객들이 책을 필요로 할 때 인터넷에서 주문하면 서점에 책을 쌓아 둘 필요가 없을 것 같은데?
전체 국민 중에서 80%가 필요한 책을 조금 더 빠르게, 서점을 방문할 필요 없이
[인터넷을 통해서] 구매할 수 있게 만들어보자.

 

제프 베이조스는 당시 '인터넷을 통해서' 책을 구매할 수 있는

 

온라인 서점, 아마존 닷컴을 설립합니다.


AWS, Amazon Web Service

 

제프 베이조스는 아마존 초창기에

자신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이용하는 수많은 작은 기업들에

웹 기반의 기술 플랫폼 환경을 제공하고 익숙해지게 만들었습니다.

 

이 서비스는 '웹 운영체제'라는 이름이 붙게 되고

오늘날 AWS라고 불리는 역사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아마존의 웹 운영체제는 기존의 윈도우, Mac OS와 달리

덩치가 큰 운영체제를 한 번에 개발하여 배포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가 있는 서비스부터 하나씩 모듈화 해서 출시했다는 것입니다.


각설하고!

본격적으로 AWS를 이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필수 내용 알려드리겠습니다!

 

1. 리전(Region)

 

AWS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지역에 여러 개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어원 그대로 '리전(Region)'이라고 하겠습니다.

리전이 모여서 AWS가 구성됩니다.

 

리전이 중요한 이유

- 인터넷 기술, 통신 기술이 빨리 진다 해도 물리적 거리가 멀어질수록 속도가 느려짐

- 주요 지역에 리전을 위치시키고, 리전과 가까울수록 속도가 증가


2.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리전이 모여서 AWS 서비스가 구성된다면, 리전은 가용 영역(AZ)의 집합입니다.

흔히 말하는 Data Center(데이터 센터)가 가용 영역입니다.

 

만약, 하나의 리전에 하나의 데이터 센터만 운영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자연재해나 알 수 없는 이유로 데이터 센터가 다운된다면 해당 리전 전체에 피해를 입습니다.

 

하지만, 가용 영역을 여러 곳에 두고 운영한다면

하나의 가용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해도 단순 변경만으로도 가용 영역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용성(Availability)라고 부릅니다.


3. 에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에지 로케이션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을 이루는 캐시 서버로,

리전에 속한 '리전 에지 캐시'를 통해 데이터 속도를 개선합니다.

 

cf) 캐시(Cache) :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

이전에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열어본 페이지가 처음 열어보는 페이지보다 더 빨리 열리는 이유 : 캐시(Cache)

이전에 열어본 페이지의 이미지 등을 캐싱하여 하드디스크에 저장해놓기 때문!


상황 1) 서버가 미국에 있고 유저들이 한국에서 접속하는 경우

- 대구, 서울, 부산 등 다양한 지역에서 접속하게 됨

- 데이터는 미국에서 오기 때문에 상당한 거리를 거치게 됨

- 네트워크 요청이 서울에서 출발하여 미국을 거쳐 데이터를 받는 방식이라고 가정

- 미리 데이터를 어딘가 저장해두면 접속량을 분산시킬 수 있어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음


  • CDN(Content Delivery Network)

     : 다양한 콘텐츠를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안정적으로 전송해주는 서비스


웹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 외 다른 서버에 캐시 해두고,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서버가 대신 전달한다면 접속량을 분산시키게 되어

결과적으로 접속량이 급증해도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에지 로케이션(Edge Location) 8단계

 

1.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통해 이미지를 요청합니다.

2. DNS 서버에 IP주소를 요청합니다.

3. 에지 로케이션 주소를 라우팅 합니다.

    이때 에지 로케이션은 일반적으로 지연 시간이 가장 적고 가까운 에지 로케이션의 주소를 알려줍니다. 

4. 전달받은 주소로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5. 만일 사용자가 요청하는 파일이 에지 로케이션이 저장되어 있다면

    단계를 생략하고 마지막 단계로 넘어가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6. 데이터가 없는 경우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합니다.

7. 데이터를 에지 로케이션에 전달합니다.

8. 데이터가 도착하면 사용자에게 전달합니다. 

    이후 다른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요청하면 캐시에 데이터를 추가합니다.


이렇게, AWS를 본격적으로 접하기 전에

리전, 가용 영역, 에지 로케이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AWS를 시작하기 전, 알아두면 좋습니다!

 

이상 두루뭉실 블로그의 주인장 두루뭉실 엔지니어였습니다!

 

감사합니다!